○ 병인체
.Hog cholera virus (Classical swine fever virus)
○ 주요증상
.전염력이 매우 강하며 일단 감염된 돼지는 연령에 관계없이 거의 폐사하게 된다. 감염된 돼지의 체온은 40~42℃로 오르며, 원기가 없어지고 식욕이 감소하고,나중에는 전혀 먹지 않게 된다. 외부의 자극에 대한 반응이 둔해지고 또한 오한증세 때문에 여름에도 병돈은 서로 포개어 누워있게 된다. 발병초기에는 변비가 생기며 후기에는 설사를 하고 눈이 충혈되며 눈꼽이 낀다. 발병후 수일이 지나면 뒷다리를 못쓰게 되어 비틀거리며 잘 걷지 못한다. 피부 특히 네다리, 배, 귀 등은 암적색 또는 자색으로 변하며 피모는 거칠어 진다. 말기에는 체온이 떨어지면서 죽게 된다. 임신한 모돈이 감염될 경우 바이러스는 태반을 통과하여 태아에 감염하며 태아 일령에 따라 재흡수, 유산, 사산 및 허약자돈 분만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돼지열병에 감염된 개체나 폐사돈을 부검해 보면, 임파절이 상당히 커져 있으며, 출혈이 심하게 나타난다. 비장에는 암적색의 출혈성 경색이 나타나며 콩팥, 심장 및 방광 등에 점상출혈이 나타난다. 간혹 결장점막에 단추모양의 궤양과 편도선의 괴사소견을 관찰할 수 있다. 이러한 감염장기에서 돼지열병바이러스를 분리하거나 형광항체법으로 진단할 수 있다.
○ 유입경로 및 유입추정년도
.유입경로는 불확실, 국내에서는 1947년 서울근교 불이농장에서 발생한 것이 공식적으로 처음 보고되었다.
○ 국내발생상황은 우리본부 홈페이지 동물방역 → 가축방역 → 가축전염병 발생통계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예방 및 치료
-
가. 차단방역의 소홀
-
돼지열병바이러스가 양돈장으로 들어 올 수 있는 주요한 원인은 도축장 출하차량, 사료차량, 돼지 수집상, 외부인의 양돈장출입 그리고 감염상태에 있는 돼지의(잠복감염돈)구입 등을 들수 있다.
-
나. 감수성 돼지의 계속적인 생산
-
양돈장에서는 연중 자돈을 생산하므로 모체이행항체가 소실되어 병에 걸리기쉬운 자돈이 계속 존재하게 된다. 따라서 백신접종을 하지 않은 농장에 바이러스가 침입하면 발병 상황이 지속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규모가 큰 양돈장에서 이 병이 발병하면 근절하는데 감염돈의 과감한 도태 및 초유전예방접종법 실시 등 상당한 노력과 기간이 소요된다.
-
다. 백신접종 미실시 또는 접종시기 부적절
-
최근 3D현상에 의한 노동인력 수급의 어려움 때문에 적절한 시기에 예방접종을하지 못하거나 예방접종을 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이 병이 양돈장에서 계속 발병하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모든 돼지는 예방접종을 실시하여야 하며, 특히 자돈에서는 어미의 초유로부터 받은 이행항체가 있어서 적절한 백신접종 시기를 택하지 않으면 백신을 접종해도 전혀 효과를 기대할 수가 없으므로 백신접종시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첫째, 자돈에서 예방접종 시기를 잘못 잡아서 백신을 접종하는 경우이다.돼지열병에 면역된 모돈에서 태어난 자돈은 초유를 통하여 모돈으로부터 이행항체를 받으며 이것을 모체이행항체라고 한다. 만약 이행항체 수준이 너무 높을 때 보통 생후 4주 이내 백신을 접종하게 되면 예방효과를 전혀 볼 수 없게 된다.
둘째, 백신은 5℃ 냉장보관 하여야 하는데 실온에 방치하는 경우가 있어 효과가급격히 떨어지게 된다. 또한 유효기간이 지난 백신의 사용으로 면역형성이 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바이러스 전염병으로 치료법이 없으며 다음 표와 같이 예방접종을 하는 것이 최선의 예방법이다.
예방 및 치료에 관한 내용을 제공한 표
접종방법 |
접종대상 |
1차접종 |
2차접종 |
보강접종 |
접종경로 |
포유전 접종법
(발생농장) |
무포유
신생자돈 |
포유전 |
- |
매년1회 |
근육 |
자 돈 접 종 법 |
이유자돈 |
생후
5-7주령 |
생후
8-9주령 |
매년1회 |
근육 |
모돈 (성돈) |
모 돈 |
종부 2-4주전 1회 |
매년1회 |
근육 |
○ 증상사진보기
.![[돼지콜레라에 감염되어 떨면서 포개어 모여있는 모습]](http://www.nvrqs.go.kr/images/work/disease_information/p07_1.gif)
[돼지열병에 감염되어 떨면서 포개어 모여있는 모습]
![[결장점막의 단추모양의 궤양]](http://www.nvrqs.go.kr/images/work/disease_information/p07_2.gif)
[결장점막의 단추모양의 궤양]
![[악하임파절 출혈소견]](http://www.nvrqs.go.kr/images/work/disease_information/p07_3.gif)
[악하임파절 출혈소견]
![[편도의 출혈 및 궤양소견]](http://www.nvrqs.go.kr/images/work/disease_information/p07_4.gif)
[편도의 출혈 및 궤양소견]

[감염된 돼지는 약해지고 견좌자세를 취한다]
![[편도에 형성된 농포와 출혈병변]](http://www.nvrqs.go.kr/images/work/disease_information/p07_6.gif)
[편도에 형성된 농포와 출혈병변]

[신장표본에서 보이는 무수한 점상출혈반점 ]
![[장간막 임파절의 및 종대]](http://www.nvrqs.go.kr/images/work/disease_information/p07_8.gif)
[장간막 임파절의 및 종대]
![[비장 변연부에 형성된 출혈성 병색]](http://www.nvrqs.go.kr/images/work/disease_information/p07_9.gif)
[비장 변연부에 형성된 출혈성 병색]

[일본뇌염의 분리주에 단클론항체를 이용한 형광항체사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