⑦ 6개의 해외 공동체(collectivites d'outre-mer), 1개의 특별 공동체(collectivite sui generis), 1개의 해외 영토(territoire d'outre-mer), 중앙 정부 직할의 공유지인 무인도가 있음
9. 정 치
① 정치변동
- 절대 왕정 : 루이 14세부터 루이 16세까지
- 제정(帝政) : 1804년부터 1815년까지, 1852년부터 1870년까지
- 입헌 군주제 : 1815년부터 1848년까지
- 공화정 : 1792년부터 1795년까지, 1848년에서 1852년까지, 1871년부터 현재
- 現 프랑스 제5 공화국은 1958년부터 지금까지 이어져오고 있음
② 정부형태
- 프랑스 제 5공화국 헌법에 따라 대통령이 국가원수인 대통령제 국가(임기 5년)
- 프랑스는 대혁명이후 여러 형태의 헌정을 실시해왔는 바, 제 5공화국에서는 제 3공화국과 제 4공화국에서의 정치 불안에 대한 반작용과 다수정당이 난립하는 가운데 정국의 안정을 기하기 위한 필요에서 대통령의 권한을 대폭 강화하면서도 의회주의의 전통을 유지하는 절충형 헌법을 채택함 - 제 5공화국 헌법(1958.10.4 개정)하에서 대통령은 외교, 국방, 내치에 걸치는 방대한 권한을 가지는 반면, 의회의 불신임으로 부터 면제되는 초월적 위치에 있음.
- 대통령의 모든 공적 활동을 통치 행위로 간주하는 전통에 따라, 대통령 비서실 조직에 따른 인원 구성, 예산 책정, 회계감사 등은 의회나 감사 기관의 감독 대상에서 제외되고 있음 - 대통령이 주로 정치적 권한을 보유하는 반면, 행정권은 총리가 지휘하는 행정부에 속하며 행정부는 의회에 대하여 책임을 짐
- 입법부는 하원우위의 양원제이나 상원도 개헌문제에 관하여는 하원과 동등한 권한을 가지며, 상원은 대통령의 의회 해산권에서 제외되어 있음 - 3권분립의 원칙에 따라 사법부가 독립되어 있으나 대통령이 사법권 독립의 보장자로서 최고사법위원회(Conseil Superieur de la Magistrature) 의 의장을 겸하고, 최고사법위원회가 대법관 및 고등법원장 임명을 제청 하게 되어 있는 등 사법권에 관하여도 대통령은 상당한 권한을 보유함
③ 대통령(President)
- 선출방법 : 국민의 직접 보통 선거에 의해 선출되며 1차 투표에서 절대 다수득표자가 없는 경우 1차 투표에서의 상위 득표자 2명중 그 다음 일요일에 결선 투표에서 최다득표자가 대통령으로 당선됨 .
- 권 한 : 국가의 계속성, 독립 및 영토보존의 보장자이며 헌법의 수호자로서 대통령은 다음과 같은 강력한 권한을 가짐
총리 임명권
각료 임명권
법률공시권 및 법률안 재심의 요구권
의회해산권 : 총리 및 상하원 의장과 협의후 의회(하원)를 해산할 수 있으며 (의회해산 후 20-40일 사이에 총선 실시), 총선후 1년이내에는 의회해산이 불가
국군통수권
외교권
사면권
긴급조치권 : 국가제도, 독립, 영토보존 및 국제공약의 수행이 중대하고도 급박하게 위협받거나, 헌법상 공권력 기능수행에 지장이 초래될 때, 대통령은 총리, 상하원의장 그리고 헌법 위원회와의 공식 협의를 거친 후 필요한 모든 긴급조치를 취할 수 있음. 동조치는 교서로 국민에게 공고되며, 즉각 의회가 소집됨(61.4. 알제리 주재 프랑스 군부 반란시 5개월동안 동 권한이 행사된 바 있음)
국민투표 회부권 : 의회 회기내 정부제의 및 양원 공동제의에 의거, 국가권력의 조직, 공동체협정의 승인 및 제도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협정추진과 관련한 법안을 국민투표에 회부할 수 있음(1958년이래 6회의 국민투표가 행해졌는바, 최근의 것은 뉴칼레도니아의 자치권 부여에 관한 것이었음)
- 계승권자 : 대통령의 유고 및 사망시 (헌법위원회 결정) 제 1승계권자는 상원의장임
- 특 권 : 대통령은 중대한 대역죄를 범하였다고 인정되지 않으면 직무상 책임에 대해 특별 정치 재판부(La Haute Cour de Justice)에 피소 불가
④ 행정부 (Ministeres)
- 총리 (Premier Ministre)
총리는 대통령에 의해 임명됨
행정부의 기능을 지휘하면서 국방 및 법률집행에 대해 책임을 짐
내각을 조직하고 장관을 인선하여 대통령에게 제청 ※ 프랑스는 정부조직법이 없으며, 새로 임명된 수상이 정부부처의 수와 형태 결정)
대통령의 권한 행사시 (긴급조치권 행사 등은 예외) 부서함
의회에 대해 책임을 짐 ※ 각료회의 심의후 중요 쟁점이 되는 정책은 신임투표의 형식으로 하원에 제출됨. 이때 야당이 48시간 이내에 불신임안을 제출하지 않는 경우 동 법안은 자동채택되며 불신임안을 제출한 경우에는 하원의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동 불신임안이 통과되면 총리는 대통령에게 내각 사퇴서를 제출하여야 함(헌법 제49조 3항)
일반정책의 선언에 대한 승인을 하원에 요구할 권한 및 법률안 제출권을 가짐
의회는 총리의 직무상 모든 책임에 대하여 특별 정치재판부에 피소 가능
- 각료(Ministres)
각료는 총리의 제청에 따라 대통령이 임명함
대통령 및 총리의 권한행사시 관계장관은 부서함
총리를 포함한 모든 각료는 의원직을 겸할 수 없음
- 정부조직(2007.6.19 현재) ※ 2007년 5월 선거에서는 대중운동연합 대표 니콜라 사르코지가 제23대 대통령에 당선)
프랑스 정부조직
국문 직책
불문 직책
이름
대통령
President
Nicolas SARKOZY
총리
Premier Ministre
Francois FILLON
장관(Ministre) 15명
국무장관(Secretaire d'Etat) 16명
고등판무관(Haut Commissaire) 1명
⑤의 회(Le Parlement)
- 의회는 상원(Senat)과 하원(Assemblee Nationale)의 양원으로 구성
- 하원중심의 양원제
- 상원은 하원과 대체로 동일한 권한을 가지나 하원이 보다 큰 정치적 비중 보유
· 지방자치단체, 국외거주시민의 권익을 대표
- 입법영역이 제한되어 있고, 국민 일반 생활에 직결된 구체사항은 행정규율로 정하는 등 행정부가 의회에 대해 우월
⑥프랑스의 대통령제는 의원내각제적인 성격이 가미되어 있고, 정당은 극우에서 극좌를 아우르는 다양한 스펙트럼을 가진 다당제임
⑦정당
- 프랑스 대중운동연합 (UMP. 현재여당)
- 프랑스 사회당(PS.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는 개혁적 진보정당.)
- 프랑스 민주동맹(UDF. 기존 좌우파에 얽매이지 않고 중도적인 정책을 추구)
- 프랑스 국민전선(FN. 세계적으로도 악명높은 프랑스의 극우정당.)
- 기타 군소정당 : 반(反)신자유주의연대, 프랑스 녹색당, 프랑스 공산당 등
10. 경 제
①통화 : 유로(Euro), 1Euro=0.62$ (2007.12.)
②세계 5위의 교역국 - 수출(3885억 유로), 수입(4171억 유로)
- 교역규모 : 8056억 유로(286억 유로 적자)
③국민총생산 : 1조 7920억 유로(세계 5위) ※ 1위 : 미국, 2위 : 일본, 3위 : 중국, 4위 : 독일
④1인당 국민소득 : 28,356 유로
⑤경제성장률 : 2%
⑥정부예산 : 2690억 유로
⑦재정적자 : 495억 유로
⑧공공부채 : 1조 1422억 유로(국민총생산의 63.9%)
⑨외국인 직접투자 : 646억 유로
⑩프랑스의 해외 투자 : 917억 유로
⑪노동
- 실업률 : 8.1%(2007.5월, 재정·경제·고용부 발표 수치)
- 최저임금 : 시간당 8.44유로(2007.7.1 기준)
- 경제활동 인구(2005년, 15-64세) : 28.7백만명(72.1%) ※ 성별 경제활동 참가 비율 : 남성 77%, 여성 67.3%
- 남녀간 년간 평균 임금 수준(2004년 기준, 유로)
남녀간 년간 평균 임금 수준
여자
남자
여자/남자
전 체
19,182
23,778
81%
간 부 직
35,647
46,514
77%
일 반 직
13,982
16,730
84%
일 반 직
13,982
16,730
84%
⑫ 산 업
- 구조 : 농수산 (3.0%), 식료품 (2.8%), 소비재 (3.2%), 자동차 (1.5%), 설비자재 (3.7%), 중간재 (6.5%), 에너지 (2.7%), 건설 (4.6%), 상업 (10.69%)
- 부문별 주요 산업 생산(부가가치 기준, 단위 : 십억유로) ※ 중간재 산업 71.5, 기계·장비 산업 41.8, 소비재 산업38.0, 자동차 산업 20.3
- 넓은 국토와 다양한 기후, 농업에 적합한 토지로 인하여, 유럽에서 드물게 농업생산국이며, 지역마다 특산있는 포도주, 레몬, 올리브등을 생산함
- 가전 제품, 컴퓨터, 가구 등의 제작기술이 뛰어나며, 철광석을 캐는 등의 광업이 존재하며, 주유 수출품으로는 자동차, 기계, 의류, 화장품, 전자제품 등이 있음
⑬ 물 류
- 샤를 드골 공항
- 승객 처리 : 53.4백만명, 2위 ※ 1위 런던 히드로, 3위 프랑크푸르트, 4위 암스테르담 스키폴, 5위 마드리드 바라야스
- 화물 처리 : 1217천톤, 4위 ※ 1위 프랑크푸르트, 2위 암스테르담 스키폴, 3위 런던 히드로, 5위 브랏셀 내셔날
- 마르세이유 항구 : 유럽 5대항중 4위 마르세이유(94.1백만톤)
⑭ 경제정세 및 전망
- 프랑스는 97년 이후 연평균 3%를 상회하는 경제성장세를 구가하여 왔으나, 2001년에는 미국, 일본, 독일 등 주요 국가들의 경제부진과 9.11테러사태에따른 세계적인 경기침체의 여파로 1/4분기부터 성장세가 둔화되어 연평균 2% 수준의 성장에불과
- 2002년에 들어서도 계속된 경기침체로 국내 총생산(PIB)은 1.1% 성장에 그치고, 투자와 새로운 일자리 창출도 감소되었으나, 감세와 높은 사회수당으로 가계의 구매력은 유지되어 가계소비가 유일한 성장 동력으로 작용
- 2003년 계속되는 경제 위축으로 2/4분기에는 마이너스성장(-0.3%)까지 기록하였으나, 하반기에 들어 미국, 일본 등 주요 국가 경제의 회복추세에 힘입어 프랑스 경제는 가계 소비, 수출, 기업 설비 투자 등 경제전반에 걸쳐 완만한 회복세
- 2004년에 들어서는 소비심리 부활, 가계소비 증가, 유로화의 상대적 약세에 기인한 수출 증가로 전반적으로 총수요가 증가하여 회복 안정기에 진입
- 2002.1.1부터 유로화 본격 통용 이후, 소비자들의 물가 상승 체감이 실제 상승폭보다 훨씬 높아 소비자들의 불만 누적
- 최근 국립통계경제연구소(INSEE)는 이와같이 호전된 경제여건을 바탕으로 2004년도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당초 1.7%에서 2.3%로 상향조정하였으나, 줄어들지 않는 실업률 9.8% (2004년 12월 예상)과 원유가격의 상승으로 안정적 성장세로 판단하기에는 어려움
1. 위치
① 전체 면적은 55만 1,695 ㎢ (코르시카 섬 포함)로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 이어 유럽에서 셋째로 큰 나라
② 서쪽으로는 대서양이, 남쪽으로는 지중해, 북쪽으로는 북해가 나라를 둘러싸고 있음
③ 프랑스와 국경를 맞대고 있는 나라로는 동쪽은 이탈리아, 스위스, 독일, 북동쪽은 룩셈부르크, 벨기에, 남쪽은 에스파냐가 있음
④ 대륙을 벗어나 북서쪽으로 영국 해협을 사이에 두고 영국과 마주하고 있음
⑤ 해외의 브라질, 수리남, 네덜란드령 안틸레스와도 국경을 접함
2. 지형
① 국토의 평균 고도는 342m, 500m이상의 고지대는 국토의 17.8%에 불과하고 250m이하의 저지대는 61.8%에 달할 정도로 광대함
② 북동부의 알자스 지방과 남서부의 바스크 지방을 잇는 선을 경계로 북서부 지역은 고도가 매우 낮은 평야나 대지, 또는 구릉지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대체로 대서양으로 지형이 열려있음
③ 남동부 지역에는 고도가 높고 기복이 큰 산지들이 집중되어 있는데 특히 300m 이상의 능선이 여러 곳에 분포하는 알프스산지와 피레네 산지는 각각 이탈리아 및 에스파냐와 자연적인 국경을 이루고 있음
1. 기후
① 프랑스의 기후는 유럽 기후의 축소판
② 프랑스는 북쪽에서 남쪽까지, 동쪽에서 서쪽까지 기후특성이 다양함
③ 여름이 다가오면 북쪽으로 이동하는 고기압으로 알프스에서는 비가 내린다. 프랑스의 중부나 동부에 내리는 여름비는 싸이클론에 의한 주로 국지적 대류(對流) 현상에 의한 것이다.
④ 겨울과 여름 사이에 지중해안에도 비가 내리기는 하지만 봄은 아주 짧으며 5월에 들어서면 이미 건조한 여름을 맞이하게 된다.
⑤ 여름에는 서해안에 약간의 비가 올 뿐 일조량이 가장 커진다. 그러나 기온은 그리 많이 올라가지 않는다. 한편 피레네의 서부에서는 가을에 강수량이 가장 많지만 여름에 호우가 쏟아지기도 한다. 또한 아키텐분지·파리분지의 한복판은 건조하며 주변지역으로 나갈수록 강수량이 많아진다.
⑥ 연평균 강수량 : 600∼2,000mm - 강수량이 많은 곳은 피레네 서부, 마시프상트랄·보주·알프스 산맥 등의 높은 지대
1. 소득분포
① 상위 10%가 국민소득의 30%, 하위 20%가 6.5%를 점유하며, 국민 10%가 국부의 50% 소유(구주국가중 부의 편재가 제일 심한 국가중의 하나)
② 가계소득 중 사회보장제도에 따른 이전소득(social transfer)의 비율은 1960년 15.5%, 1976년 30%에서 1982년 35% 이상으로 증가
2. 여가 이용
① 휴가는 연간 5주-9주까지 사용할 수 있으며, 국민 전체의 58.3%, 직장인의 88%가 휴일을 자택이외의 장소에서 활용
② 국민들의 휴가에 대한 관심이 매우 높으며, 특히 주 35시간 노동제 실시 이후 여가인구가 급증
③ 스포츠인구는 약 11만명으로 140여개의 스포츠 클럽이 존재
- 가장 인기있는 운동은 축구, 사이클, 럭비, 스키 등이며, 최근 테니스, 유도, 윈드서핑, 골프의 인기도 상향 추세
- 가장 흔히 하는 운동은 걷기, 수영, 자전거이며 젊은층을 중심으로 한 인라인 스케이트 타기가 매우 인기
④ 지방자치단체의 스포츠 시설 투자는 예산의 6-7%
3. 사회 복지
① 1945년 드골 임시정부 하에서 전면적인 사회보장제도가 채택되어 모든 국민은 의료보험, 퇴직연금, 가족수당 등의 혜택
② 사회보장 소요예산은 정부예산의 12.6%, GDP의 27.2%에 달하며, 고용주 64.5%, 피고용주 26.7%, 정부 8.4% 부담
③ 사회보장예산 분야별 지출비중(%)
- 의 료 비 : 25.7
- 퇴직연금 : 41.25
- 가족, 출산수당 : 12.23
- 주택수당 : 2.1
- 실업수당 : 8
- 장애자수당 : 5.4
- 화재, 질병보험 : 3.35
- 기 타 : 2.15
4. 종교
① 인구의 69% 정도가 카톨릭 신자이나, 실제로 일상생활에서 카톨릭 교리에 따라 일요미사에 정기적으로 참석하는 사람은 약 10%정도로 많지 않은 실정
② 1905년 교황과 불정부간 화친조약(Concordat : 1801년 체결)의 폐효 및 정교분단법 공포이후 국교는 인정되지 않으나, 동 화친조약 폐효시 독일점령지역으로서 1차대전후 프랑스 영토로 회복된 알자스, 로렌 지방에 한하여 아직도 Concordat가 유효하여 정부가 성직자의 보수, 교회운영비 등을 부담
③ 1980년이후 이슬람교도가 급격히 증가하여 현재 약 600만 정도로 추산되며, 신교도는 약 100만, 유대교도는 약 55만, 그리고 아시아인 이민의 증가에 따라 불교를 믿는 사람도 약 40만 정도로 추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