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식물방역법 제6조 및 동법시행규칙 제6조의 규정에 따른 병해충위험분석(PRA) 결과, 병해충 5종은 국내에 유입될 경우 소독 등의 조치를 하지 아니하면 식물에 해를 끼치는 정도가 크다고 인정되는 관리병해충으로 평가되었고, 기존 관리병해충 1종은 비검역병해충으로, 3종은 학명 정정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됨

◯ 농림축산검역본부 고시 제2020-31호 별표로 고시된 관리병해충 2,048종에 병해충 5종 새로 추가, 기존 관리병해충 1종 제외 및 3종 학명 정정
- 관리병해충 추가지정 5종(병원체 5) 목록 구분 | 분류군 | 병해충명(학명) | 비고 | 병(5) | 진균(1) | Didymella fabae | | 바이러스(3) | Cacao swollen shoot virus | | Capsicum chlorosis virus | | Strawberry crinkle virus | | 잡초(1) | Oenanthe pimpinelloides | |
- 관리병해충 지정 제외 1종(병원체 1) 목록 구분 | 분류군 | 병해충명(학명) | 비고 | 병(1) | 바이러스(1) | Little cherry virus | |
- 관리병해충 학명 정정 3종(해충 3) 목록 구분 | 분류군 | 병해충명(학명) | 정정된 병해충명(학명) | 비고 | 해충(3) | 메뚜기과(1) | Malanoplus femurrubrum (De Geer) | Melanoplus femurrubrum (De Geer) | 학명 오기 | 잎말이나방과 (2) | Playnota flavedana Clemens | Platynota flavedana Clemens | 학명 오기 | Argyrotaenia pulchellana Haworth | Argyrotaenia ljungiana (Thunberg) | 정명 확인 |
* 개정 이후 관리병해충 수 : 2,052종(병 477, 해충 1,544, 잡초 31) * 관리병해충 목록 붙임 참조

◯ 붙임 참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