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산물안전
동물축산물검역검사
수입위험분석 해외 가축전염병 발생 동향 PLUS+
광견병 비발생 국가(지역) | |||||
---|---|---|---|---|---|
담당부서 | 동물질병관리부 | 작성자 | 김성규 | 6541 | 2021-05-20 |
□ 근거 : 가축 외 포유류동물 수입위생조건(농식품부고시 제2020-101호, '20.12.18.) 및 지정검역물의 검역방법 및 기준(농림축산검역본부고시 제2019-73호, '19.10.28.) [별표 9] 개, 고양이 등 수입동물 검역방법(제20조관련) □ 기준 : 기존 고시 목록에서 광견병 발생*으로 OIE에 통보되는 경우 목록에서 자동적으로 삭제되고, 상대국 정부에서 OIE에 광견병 청정 국가(지역) 선언을 하면 광견병 비발생 지역으로 인정 * ① Classical rabies virus genotype-1 발생, ② 수입검역 과정 중 발생 건 제외, ③ OIE 육상동물위생규약의 광견병 바이러스 감염 청정국가(지역) 규정 준용 |